이슈트반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헝가리 기독교화와 통일의 기반을 다진 인물이다. 그는 에스테르곰에서 헝가리의 대공 게저의 아들로 태어나 바이크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997년 아버지의 사후 대공으로 즉위했다. 그는 바이에른의 기셀라와 결혼하여 신성 로마 제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여러 군사 원정을 통해 헝가리 통일을 추진했다. 1000년 또는 1001년에 교황으로부터 왕관을 받아 헝가리 왕국을 건국했으며, 기독교를 장려하고 교회 조직을 정비하는 등 내정을 다졌다. 그는 1038년 사망했으며, 1083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의 유산은 헝가리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까지도 헝가리의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75년 출생 - 장목황후
북송 진종의 황후인 장목황후 곽씨는 진종 즉위 전 후처로 들어가 황후가 되었으나, 서경에서 병사하여 장목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975년 출생 - 올드르지흐
올드르지흐는 보헤미아 공작으로, 야로미르를 폐위시키고 공작위에 오른 후 브르쇼프치 반란을 진압하고 모라바를 탈환했으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 폐위된 후 복위와 폐위를 반복하다 사망했다. - 헝가리의 로마 가톨릭 성인 - 라슬로 1세
라슬로 1세는 1077년부터 1095년까지 헝가리를 통치한 국왕으로, 국내 통합과 안보 강화에 힘쓰고 크로아티아를 정복하여 헝가리의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1192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헝가리의 로마 가톨릭 성인 - 폴란드의 킨가
폴란드의 성녀 킨가는 볼레스와프 5세와 결혼 후 순결을 서약하고 자선 활동을 펼쳤으며 비엘리치카 암염 광산 발견 전설과 관련이 있고, 복녀를 거쳐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수호성인으로 지정된 후 성녀로 시성되었다. - 1038년 사망 - 유방 (고려)
유방은 고려 시대 문신이자 무신으로, 거란 침입 격퇴에 공을 세워 병부상서, 참지정사 서경유수 겸 서북면행영도병마사 등 주요 관직을 역임하고 문하시중에 이르렀으며 천승현개국남에 봉해졌다. - 1038년 사망 - 오나카토미노 스케치카
오나카토미노 스케치카는 헤이안 시대의 공경이자 가인으로, 이치조, 고이치조, 고스자쿠 천황 3대에 걸쳐 다이조사이에서 와카를 읊고 신기백을 역임했으며, 칙찬 가인으로서 칙찬 와카집에 다수의 작품이 수록되었고 개인 가집으로 『스케치카쿄슈』를 남겼다.
이슈트반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성 이슈트반 왕 |
헝가리어 | , IPA: |
슬로바키아어 | , 슈테판 1세 또는 슈테판 벨키 |
출생 이름 | 버이크 |
출생 | 975년경 |
출생지 | 에스테르곰, 헝가리 공국 |
사망 | 1038년 8월 15일 |
사망지 | 에스테르곰 또는 세케슈페헤르바르, 헝가리 왕국 |
매장지 | 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 |
종교 | 가톨릭교 |
![]() | |
통치 | |
즉위 | 997년 – 1000년 또는 1001년 |
이전 | 게저 |
즉위 | 1000년 또는 1001년 – 1038년 |
대관식 | 1000년 12월 25일 또는 1001년 1월 1일 |
형식 | 헝가리 |
계승자 | 페테르 |
가족 관계 | |
왕조 | 아르파드 왕조 |
아버지 | 게저 |
어머니 | 사롤트 |
배우자 | 기젤라 폰 바이에른 (996년 결혼) |
자녀 | 오토 성 임레 |
2. 생애
이슈트반 1세(바이쿠)는 969년 또는 975년에 에스테르곰에서 마자르족의 대공 게자의 아들로 태어났다.[41] 985년, 프라하의 아달베르트에게 세례를 받고 '이슈트반'이라는 세례명을 받았다.[50] 995년에는 바이에른의 하인리히 2세의 딸 바이에른의 기셀라와 결혼했다.[41][53]
997년 아버지 게자가 사망하자, 이슈트반은 왕권신수설을 주장하며 대공 지배권을 주장했다. 그러나 연장자 우선권을 주장하는 코퍼니와 베스프렘 인근에서 전투를 벌여 승리하고 헝가리 대공이 되었다.[52][54][55]
1000년 12월 25일(혹은 1001년 1월 1일), 에스테르곰에서 로마 교황 실베스테르 2세에게 받은 왕관으로 즉위식을 거행하여 헝가리 왕국이 공식적으로 성립되었다.[5] 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3세의 동의를 얻어 왕관을 받았다고도 전해진다.[5]
이슈트반 1세는 아버지의 정책을 이어받아 헝가리의 기독교화를 추진했다. 에스테르곰과 칼로차(Kalocsa)에 대주교구를 설치하고 8개의 주교구를 추가하여 헝가리 교회를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시켰다.[12] 수도원 부속 학교를 통해 라틴어를 보급하고, 왕국을 여러 주로 나누어 지방 장관(이슈판)을 배치하는 행정 개혁도 단행했다.[18] 또한 라틴어 법령을 제정, 공포하여 왕국 통치의 기반을 마련했다.[18]
1018년 바우츠 화약을 통해 폴란드의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에게서 영토를 넘겨받고, 비잔티움 제국의 바실리우스 2세와 동맹을 맺는 등 외교 관계를 맺었다.[19] 그러나 1024년 하인리히 2세가 사망하고 콘라트 2세가 즉위하면서 신성 로마 제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어 1030년에는 전쟁이 벌어졌다. 1031년 평화 조약으로 라이타강과 피샤강 사이의 땅을 헝가리에 양도받았다.[19]
1031년 아들 임레가 사망한 후, 이슈트반 1세는 후계자 문제로 고심하다가 1038년 8월 15일 성모 승천 대축일에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
이슈트반 1세는 에스테르곰에서[41] 버이크(Vajk)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41][42] 그의 아버지는 헝가리의 대공 게저이며,[41] 어머니는 트란실바니아의 줄러 2세의 딸[44]인 사롤트이다.[45]'버이크'라는 이름은 "영웅", "주인", "왕자" 또는 "부유한 자"를 뜻하는 튀르크어 단어 ''baj''에서 유래했다.[50] 전설에 따르면 아달베르트 폰 프라크가 버이크에게 세례를 주었다.[49] 그는 기독교 초기의 성인 성 스테파노에 대한 존중의 의미로 '이슈트반'이라는 세례명을 받았다.[50] 이 세례명은 히브리어로 ‘왕관’, ‘기준’이라는 의미를 지녔다.[51]
이슈트반은 어린 시절 "문법 기술에 대한 지식을 완전히 습득했다"고 전해지는데,[4] 이는 그가 라틴어를 공부했음을 의미한다. 그의 스승 중 한 명은 이탈리아 출신의 데오다투스 백작이었다.
이슈트반이 사춘기에 이르자 게저 대공은 집회를 열었고, 참석자들은 이슈트반이 아버지의 뒤를 이을 것이라 결정했다.[52] 이는 헝가리 부족 전통과 상반되는 것이었다.
이슈트반은 말지기 하인리히 2세의 딸인 바이에른의 기셀라와 995년 이후에 결혼했다.[41][53] 이 결혼으로 그는 미래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가 될 하인리히 2세의 자형이 되었다. 기셀라는 독일인 기사들과 함께 헝가리에 왔으며,[54] 이들은 이슈트반의 군사적 지위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2. 2. 헝가리인들의 대공
997년, 아버지 게저가 죽자 이슈트반은 기독교적 왕권신수설을 근거로 헝가리 대공 지배권을 주장했다.[52] 반면, 쇼머지의 강력한 이교도 족장이었던 삼촌 코퍼니는 전통적인 연장자 우선권을 근거로 지배권을 주장하며 맞섰다.[54] 결국 두 사람은 베스프렘 인근에서 전투를 벌였고, 이 전투에서 승리한 이슈트반은 헝가리인들의 대공이 되었다.[55] 이슈트반의 승리에는 퍼즈머니와 혼트 형제가 이끈 독일 수행단의 활약이 컸다.[55] 당대에 쓰여진 판논할마 수녀원의 재단 증서는 전투 중 독일인과 머저르인 사이에 벌어진 격전을 분명히 묘사하고 있다. 이슈트반은 트란스다뉴비아 지역에 대한 권력을 강화했지만, 헝가리의 몇몇 지역은 여전히 그의 통치를 받아들이지 않았다.2. 3. 헝가리의 초대 왕
이슈트반 1세는 1000년 12월 25일 또는 1001년 1월 1일에 헝가리의 왕으로 즉위했다. 이 날짜는 후대의 헝가리 전통에 따른 것으로, 2000년대의 첫날에 왕위에 올랐다는 기록에 기반한다. 그의 대관식은 에스테르곰이나 세케슈페헤르바르에서 거행되었으며, 독일 왕의 즉위식 의례를 따랐다. 따라서 이슈트반은 의식 중에 성유를 받았다.이슈트반 1세의 대관식은 헝가리의 국제적 지위를 강화하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그는 왕이라는 칭호를 채택하여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기독교 군주로서의 정통성을 확보했다. 그의 대관식에 대한 기록은 두 가지 관점으로 나뉜다. 메르제부르크의 티에트마르는 이슈트반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3세의 "호의와 촉구"[5]로 왕관을 받았다고 기록하여, 이슈트반이 황제의 종주권을 받아들였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이슈트반의 전설에 따르면 그는 교황 실베스테르 2세로부터 왕관을 받았다. 크리스토와 죄르피는 교황 실베스테르 2세와 황제 오토 3세가 가까운 동맹이었음을 지적하며, 두 기록이 모두 유효하다고 주장한다. 즉, 이슈트반은 교황으로부터 왕관을 받았지만, 황제의 동의 없이는 아니었다는 것이다.[5]
그러나 헝가리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했던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이슈트반이 헝가리를 "성 베드로"(즉, 교황청)에게 "봉헌하고 정성껏 넘겼다"고 주장했다.[9] 반면 이슈트반의 「대전설(Greater Legend)」은 국왕이 헝가리를 성모 마리아에게 바쳤다고 기록하고 있다. 팔 엔젤과 밀로스 몰나르를 포함한 현대 역사가들은 이슈트반이 항상 자신의 주권을 주장했고 교황이나 황제의 종주권을 결코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그의 문서에는 황제의 통치 연도에 따른 날짜 표시가 없으며, 이는 그가 황제의 봉신이었다면 있었을 것이다. 또한 이슈트반은 그의 「법전 제1권(First Book of Laws)」 서문에서 "하느님의 뜻에 따라" 그의 왕국을 통치했다고 선언했다.[10]
이슈트반 1세는 왕관 외에도 깃발이 달린 창을 자신의 주권의 중요한 상징으로 여겼다. 그의 최초의 주화에는 "LANCEA REGIS"("왕의 창")라는 비문과 함께 깃발이 달린 창을 든 팔이 묘사되어 있다. 아데마르 드 샤반에 따르면, 오토 3세 황제가 이슈트반의 아버지 게자에게 창을 주어 "자신의 나라를 소유하는 데 있어 가장 자유로운 삶을 누릴 권리"를 표시했다고 한다. 이슈트반은 그의 문서에서 "Ungarorum rex"(헝가리인들의 왕), "Pannoniorum rex"(판노니아의 왕), "Hungarie rex"(헝가리의 왕) 등 다양한 칭호로 불렸다.
《그림이 포함된 연대기》는 최초의 헝가리인들의 왕이 아틸라라고 기록하는 동시에, 이슈트반 1세 역시 최초의 헝가리인들의 왕이라고 주장한다. 이슈트반 1세의 발언("옛 왕들을 따르고 부모를 모방하는 것이니라")에 대한 해석은 '옛 왕들'이 아틸라와 님로드를 지칭한다는 점에서, 왕국 창건이 이슈트반의 업적이 아니라 그의 조상들의 업적일 수 있다는 논쟁으로 이어진다.
2. 4. 통치
이슈트반 1세는 아버지 게자 1세의 정책을 이어받아 헝가리의 기독교화를 더욱 발전시켰다. 에스테르곰과 칼로차(Kalocsa)에 대주교구를 설치하고, 그 외 8개의 주교구를 추가로 설치하여 헝가리 교회를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시켰다.[12] 수도원 부속 학교를 설립하고 라틴어를 보급하는 등 문화 발전에도 힘썼다. 왕국을 여러 주(県)로 나누고 각 주에 지방 장관(이슈판)을 배치하는 행정 개혁을 단행했으며, 라틴어로 된 법령을 제정, 공포하여 왕국 통치의 기반을 마련했다.[18]2. 4. 1. 내정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를 기독교 국가로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12] 헝가리인들의 개종은 이미 그의 아버지 통치 시대에 시작되었지만, 이교도의 풍습을 버리도록 강요한 것은 이슈트반 1세였다.[12] 그는 여러 법을 제정하여 기독교 신앙을 강화하고 이교도 전통을 억압했다.[12]이슈트반 1세는 대관식을 전후로 헝가리 왕국 내에 여러 교구를 창설하여 기독교 조직을 강화했다. 비하르 교구, 버츠 교구, 컬로사 교구, 죄르 교구, 베스프렘 교구 등이 이때 설립되었으며, 에스테르곰 대교구를 창설하여 독일 대주교들로부터 독립적인 기독교 조직을 만들었다.[12] 1001년에는 칼로차(Kalocsa) 교구도 설립했다.[12]
이슈트반 1세는 외국 사제들을 헝가리로 초청하여 왕국을 복음화하려 했다.[12] 성 아스트리쿠스, 성 처나드의 겔레르트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의 ''법전 제1권''에는 축일 준수와 고해성사를 규정하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으며,[12] 다른 법률은 재산권과 과부, 고아를 보호하고 농노의 지위를 규정했다.[12]
1003년경, 이슈트반 1세는 외삼촌 줄러가 지배하는 트란실바니아를 침공하여 점령하고 트란실바니아 교구를 조직했다.[13] 이후 트란스다뉴비아 남부의 검은 머저르인들의 땅을 정복하고 페스 교구를 조직했다.[13] 머트라 지역의 카바르족 수장이자 매부였던 어버 샤무엘의 동의를 얻어 그의 영지에 에게르 교구를 조직했다.[13] 마지막으로, 후의 버너트 지방을 지배하던 아흐툼의 영토를 점령하고 서너드 교구를 창설했다.[13]
이슈트반 1세는 영토 기반 행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헝가리 왕국의 주(Counties of the Kingdom of Hungary)를 설립했다.[16] 각 주는 이스판(ispán)이라는 왕실 관리가 이끌었으며, 왕실 요새를 중심으로 조직된 행정 단위였다.[16] 이 시대의 대부분의 요새는 흙으로 만들어졌지만, 에스테르곰(Esztergom), 세케슈페헤르바르(Székesfehérvár), 베슈프렘(Veszprém)의 성은 돌로 지어졌다.[16] 주청소년으로 사용되는 요새는 교회 조직의 핵심이 되었고, 매주 일요일 시장이 열리는 주변 정착지는 중요한 지역 경제 중심지가 되었다.[16]
1020년대에 헝가리에서는 정규 주화 주조가 시작되었다.[18] "STEPHANUS REX"(이슈트반 왕)와 "REGIA CIVITAS"(왕궁 도시)라는 글귀가 새겨진 그의 은화 디나르는 당시 유럽에서 인기가 많았다.[18]
이슈트반 1세는 아버지 게자 1세 이래로 계속된 헝가리의 기독교화를 더욱 진전시켰다. 에스테르곰과 칼로차(Kalocsa)에 대주교구를 설치하고, 그 외에도 8개의 주교구를 설치했다. 수도원 부속 학교가 설립되었고, 라틴어 보급 등 문화 진흥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헝가리의 교회 조직은 오토 1세 이래로 세력을 강화해 온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된 지위에 있었다. 또한, 그는 왕국을 여러 주(県)로 나누고 각 주에 지방 장관(이슈판)을 배치했다. 그리고 왕국 통치의 근간이 되는 법령을 라틴어로 제정, 공포했다.[18]
2. 4. 2. 외정
이슈트반 1세는 초기에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2세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두 사람의 우호적인 관계 덕분에 11세기 초 수십 년 동안 헝가리의 서쪽 국경은 평화를 누렸다.[19] 1009년경, 그는 그의 여동생을 베네치아 공화국의 베네치아 도제인 오토 오르세올로와 결혼시켰는데, 그는 바실 2세 비잔티움 제국 황제의 측근이었다. 이는 헝가리와 비잔티움 제국의 관계 또한 평화로웠음을 시사한다.[19]이슈트반 1세는 하인리히 2세와 동맹을 맺고 폴란드의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에 대항하여 군사 원조를 제공했다. 1018년 바우츠 화약에서 폴란드는 점령한 영토를 모두 이슈트반 1세에게 넘겼다.[19] 그 직후, 이슈트반 1세는 볼레스와프 1세의 키예프 대공국 원정을 지원했다.[19] 같은 해, 이슈트반 1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바실리우스 2세와 동맹을 맺고 불가리아로 원정을 떠나 여러 성유물을 수집했다.[19]
1024년 하인리히 2세가 사망하고 콘라트 2세가 새로운 황제가 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콘라트 2세는 헝가리에 대한 패권을 주장하며 공격적인 대외 정책을 펼쳤다.[19] 이슈트반 1세는 독일과의 동맹을 끊고, 자신의 아들 임레에게 바이에른 공국을 줄 것을 요구했다.[19] 1027년, 이슈트반 1세는 콘라트 2세가 비잔티움 제국에 보낸 사절을 사로잡기도 했다.[19]
1030년, 콘라트 2세는 헝가리를 침공했으나 이슈트반 1세에게 패배했다.[19] 1031년, 양국은 평화 조약을 맺었고, 라이타강과 피샤강 사이의 땅이 헝가리에 양도되었다.[19]
2. 5. 이슈트반의 만년
1031년 아들 임레가 사냥 중 상처로 사망하자, 이슈트반은 깊은 슬픔에 빠져 건강이 악화되었다.[20] 회복 후에도 예전의 활력을 되찾지 못했다.[21]이슈트반은 왕국의 기독교 정책을 이어갈 후계자를 찾지 못해 고심했다. 이교 성향이 의심되는 사촌 버줄에게 왕위를 넘기고 싶지 않았던 그는, 버줄의 암살 모의를 적발하여 눈을 뽑고 귓구멍에 납을 붓는 형벌을 내렸다.
결국 이슈트반은 누이의 아들인 베네치아 출신 페테르 오르세올로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1038년 8월 15일 성모 승천일에 이슈트반은 에스테르곰·센키럴리 또는 세케슈페헤르바르에서 사망하여 세케슈페헤르바르의 바실리카에 안장되었다. 귀족과 백성은 3년간 상을 치렀다.
이슈트반 사후 헝가리는 내전, 이교도 반란, 외침으로 혼란스러웠으나, 1077년 버줄의 손자 헝가리의 래디슬라스 1세 즉위로 안정을 되찾았다.
3. 이슈트반의 유산
이슈트반 1세는 사후 헝가리 왕위 계승 분쟁과 이교도 반란으로 혼란을 겪었지만, 1083년 성인으로 시성되면서 그의 유산은 헝가리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슈트반이 죽자 그의 조카 오르세올로 페테르와 매제 어버 샤무엘이 왕위를 두고 다투었다. 9년간의 분쟁 끝에 1047년 이슈트반의 사촌 언드라시 1세가 왕위에 올라 아르파드 왕조를 복구했다. 헝가리 역사학은 페테르와 샤무엘도 아르파드 왕조의 일원으로 간주한다.
이슈트반의 무덤에서는 치유 기적이 일어났다고 전해지며, 1083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그를 성 임레, 성 겔레르트(Szent Gellérthu)와 함께 성인으로 시성했다. 이로써 성 이슈트반은 '참회왕'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성인이 되었으며, 헝가리, 왕, 죽어가는 아이들, 석공, 석수, 벽돌공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성 이슈트반은 트리엔트 달력에는 언급되지 않지만, 1631년 로마 가톨릭 성인 달력에 추가되어 8월 20일에 기념되었다. 1687년 9월 2일로 축일이 변경되었다가 1969년 다시 그가 죽은 날로 바뀌었다.[56] 그러나 일부 가톨릭 전통주의자들은 1970년 이전의 성인 달력을 따르고 있다. 헝가리 교회의 달력에서는 그의 성유물이 부다 시로 옮겨진 8월 20일을 축일로 기념한다. 헝가리 공산주의 시대에는 성 이슈트반의 축일이 '새로운 빵 - 추수의 끝 기념일'로 대체되기도 했다.[57]
3. 1. 헝가리 건국의 아버지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헝가리 건국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그는 카르파티아 분지에 기독교 국가를 건설하여 헝가리가 생존할 수 있도록 기틀을 다졌다. 이는 이전에 같은 영토를 지배했던 훈족, 아바르족 등 다른 민족들과는 대조적인 업적이다.[56] 카틀리지가 강조했듯이,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에 "40년간의 상대적 평화와 건전하지만 화려하지 않은 통치"를 제공했다.[57]이슈트반 1세의 후계자들은 그의 업적을 계승하고자 노력했다. 이교도 봉기를 통해 왕위에 오른 헝가리의 앤드류 1세는 이교도 의식을 금지하고, 신하들에게 "성 이슈트반 왕이 가르쳐 준 법에 따라 모든 일을 해야 한다"고 선포했다.[24] 중세 헝가리에서 특권적인 지위를 주장하거나 자신의 "자유"를 보존하려 했던 공동체들은 종종 그들의 특별한 지위가 성 이슈트반 왕에게서 기원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1347년 탑 주민들은 왕에게 판논할마 대수도원장이 부과한 세금이 "성 이슈트반 왕 시대에 그들에게 주어진 자유"와 모순된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3. 2. 시성
이슈트반 1세는 사후 그의 무덤에서 치유 기적이 일어났다고 전해지며, 1083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 의해 성 임레, 성 겔레르트와 함께 헝가리의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이는 성인의 새로운 유형인 '참회왕'의 탄생을 알리는 것이었다. 그는 헝가리, 왕, 죽어가는 아이들, 석공, 석수, 벽돌공의 수호성인으로 추앙받는다.이슈트반의 시성은 그의 사촌인 솔로몬을 투옥하고 권력을 강화한 라슬로 1세에 의해 시작되었다. 시성식은 1083년 8월 15일, 이슈트반의 무덤에서 거행되었으며, 전설에 따르면 그의 관은 라슬로 1세가 솔로몬을 감금 해제할 때까지 열리지 않았다고 한다. 무덤이 열린 후에는 치유 기적이 일어났다고 전해진다.
이슈트반의 첫 번째 전설인 "대 전설"은 왕의 이상적인 모습을 묘사하며, 그가 자신과 왕국을 성모 마리아에게 헌신했음을 강조한다. 반면, "소 전설"은 이슈트반의 엄격함을 부각한다. 1201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승인된 하르트비크 주교의 전설은 이슈트반의 공식적인 전설로 사용되었다.
이슈트반의 성인 숭배는 헝가리 국경을 넘어 널리 퍼졌다. 그의 유물은 아헨, 쾰른, 몬테카시노 등 여러 곳으로 옮겨졌다. 1686년 교황 인노첸시오 11세는 그의 숭배를 로마 가톨릭 교회 전체로 확장하고, 9월 2일을 그의 축일로 선포했다. 1969년 성 요아킴의 축일이 변경되면서, 이슈트반의 축일은 그가 죽은 날인 8월 16일로 변경되었다. 헝가리 교회의 달력에서는 그의 성유물이 부다로 옮겨진 8월 20일을 축일로 기념한다.
이슈트반 1세의 오른손(Szent Jobbhu)은 '성스러운 오른손'이라 불리며 특별한 숭배 대상이 되었다. 이 성유물은 한때 도난당했다가 1084년 5월 30일에 발견되었으며, 이를 기념하여 비하르주에 수도원이 세워지기도 했다. 성스러운 오른손은 여러 곳을 거쳐 현재 부다페스트의 성 스테판 대성당에 보관되어 있으며, 매년 이를 기념하는 행렬이 열린다.[5]
3. 3. 훈시
슈테판 1세의 『대왕 전설』에 따르면, 왕은 "스스로 아들을 위한 도덕 교육 서적을 편찬했다"고 한다.[1] 이 저술은 현재 『훈시』 또는 『도덕 규범에 관하여』로 알려져 있으며,[2] 중세 후기에 쓰여진 사본으로 전해진다. 학자들 사이에서는 이것이 실제로 왕이 저술했는지, 아니면 성직자가 저술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대부분 11세기 초 수십 년 동안 편찬된 것으로 보고 있다.[3][4]『훈시』는 왕권이 가톨릭 신앙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주장한다.[5][6] 저자는 군주가 교회에 기부하고 정기적으로 고위 성직자들과 상의해야 하지만, 잘못을 저지른 성직자들을 처벌할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7] 그 기본적인 생각 중 하나는 군주가 고위 성직자, 귀족, 이슈판(ispán), 전사 등 "통치의 기둥들"과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었다.[8]
내 사랑하는 아들아, 네가 왕관의 영광을 원한다면, 무엇보다도 가톨릭과 사도적 신앙을 그토록 부지런하고 조심스럽게 지켜서, 하나님께서 너에게 맡기신 모든 사람들의 모범이 되고, 모든 성직자들이 너를 참된 그리스도교 신앙인이라고 부르도록 해야 한다. 이를 게을리 한다면, 너는 그리스도인이라고도, 교회의 아들이라고도 불리지 않을 것이다. 실로, 왕궁에서는 신앙 그 자체 다음으로 교회가 두 번째 자리를 차지하며, 사도들과 성인들이 이 세상에 세우고 퍼뜨렸다. 그리고 교회는 언제나 새로운 자손을 낳았지만, 어떤 곳에서는 고대의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내 사랑하는 아들아, 지금도 우리 왕국에서는 교회가 젊고 새로 심어진 것으로 선포되고 있으니, 그 때문에 신의 자비가 우리에게 부당하게 내린 은총이 네 게으름이나 태만으로 파괴되거나 멸망하지 않도록 더욱 신중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호자들이 필요하다.|이슈트반 1세가 아들 에메리히에게 보낸 『훈시』la[9]
3. 4. 예술 작품 속의 이슈트반
13세기 말 이후로 성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 시에서 인기 있는 주제였다.[33] 초기 시들은 헝가리인들의 사도로서 성스러운 왕을 묘사한 종교적인 찬송가였다. 특히 그의 축일을 위해 쓰인 세속적인 시들은 비슷한 양식을 따르며 헝가리의 첫 번째 왕으로서 이슈트반의 역할을 강조했다.[33] 시인들은 이슈트반을 국가 정체성과 독립의 상징이자 공산 정권 기간 (1949년~1989년) 동안 역사적 대격변을 극복한 헝가리 민족의 능력으로 묘사했다.[33]
오늘날에도 교회에서 여전히 불려지는 인기 있는 찬송가는 18세기 후반에 처음 기록되었다.[33] 이 찬송가는 성 이슈트반 왕을 "헝가리인들의 빛나는 별"로 칭송한다.[33]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1812년 페슈트의 헝가리 극장 개관을 위해 그의 ''스테판 왕 서곡''을 작곡했다.[34] 음악가 제임스 M. 켈러에 따르면, "''스테판 왕 서곡''을 여는 하강하는 유니즌은 ''9번 교향곡''의 도입부를 예고하는 것 같으며, 그 후 플루트와 클라리넷에 의해 소개되는 후속 주제는 9번 교향곡의 피날레의 유명한 ''환희의 송가'' 선율의 변주곡인 것 같다".[34] 헝가리 작곡가 페렌츠 에르켈은 1885년 그의 마지막 완성된 오페라인 ''이스트반 키랄리''("스테판 왕")를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35] 1938년 졸탄 코다이는 ''에넥 센트 이스트반 키랄리호즈''("스테판 왕에게 바치는 찬가")라는 제목의 합창곡을 작곡했다.[36] 1983년 레벤트 쇠뢰냔이와 야노시 브로디는 그의 통치 초기 시대에 대한 록 오페라인 ''이스트반, 아 키랄리''("스테판, 왕")를 작곡했다. 17년 후인 2000년에 쇠뢰냔이는 ''벨레드, 우람!''("주여!")이라는 속편을 작곡했다.[37]
참조
[1]
서적
Hartvic, Life of King Stephen of Hungary
[2]
백과사전
Stephen I
http://britannica.co[...]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08-07-29
[3]
서적
John Skylitzes: A Synopsis of Byzantine History, 811–1057
[4]
서적
Hartvic, Life of King Stephen of Hungary
[5]
웹사이트
Koppány leverése [Koppány's defeat]
http://mek.oszk.hu/0[...]
Magyar Elektronikus Könyvtár
2013-08-17
[6]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7]
서적
Simon of Kéz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8]
서적
The Chronicon of Thietmar of Merseburg
[9]
서적
Pope Gregory VII's letter to King Solomon of Hungary, claiming suzerainty over that kingdom
[10]
서적
Laws of King Stephen I
[11]
웹사이트
Királykoronázások és temetések Székesfehérváron (2013/6)
https://web.archive.[...]
2015-11-07
[12]
서적
Laws of King Stephen I
[13]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4]
서적
The Chronicon of Thietmar of Merseburg
[15]
서적
The Deeds of the Princes of the Poles
[16]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7]
서적
Life of the Five Brethren by Bruno of Querfurt
[18]
서적
Rodulfus Glaber, The Five Books of the Histories
[19]
서적
The Deeds of Conrad II (Wipo)
[20]
서적
Hartvic, Life of King Stephen of Hungary
[21]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2]
서적
Laws of King Stephen I
[23]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4]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5]
웹사이트
Szent István király [King Saint Stephen]
https://web.archive.[...]
Szent István Társulat
2013-08-18
[26]
서적
Hartvic, Life of King Stephen of Hungary
[27]
서적
Hartvic, Life of King Stephen of Hungary
[28]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9]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30]
학술지
Az ortodox egyház is szentként tiszteli: Országalapító királyunk és a keleti hagyományok kapcsolatáról [Venerated also by the Orthodox Church: On the connections between our king founding our state and the Oriental traditions]
https://web.archive.[...]
2013-08-19
[31]
서적
Hartvic, Life of King Stephen of Hungary
[32]
웹사이트
A Szent Jobb története [History of the Holy Dexter]
https://web.archive.[...]
Szent István Bazilika, Budapest
2013-08-19
[33]
학술지
St. Stephen in Hungarian poetry
https://web.archive.[...]
2015-02-13
[34]
웹사이트
Beethoven: Overture to King Stephen, Opus 117
https://web.archive.[...]
San Francisco Symphony
2015-02-13
[35]
웹사이트
István király – a kottától az operáig [King Stephen – from sheet music to the opera]
http://operavilag.ne[...]
Opera-Világ
2015-02-17
[36]
서적
Kodály-kalauz
Zeneműkiadó
[37]
웹사이트
Veled, Uram! Izgalmas királydráma a Tháliában? (You, Sir! King of the exciting drama Thalia Theatre?)
https://translate.go[...]
Viva la Musical
2012-04-18
[38]
웹인용
István halála
http://www.bgrg.suli[...]
2016-12-24
[39]
웹인용
Esztergom.hu
http://www.esztergom[...]
2018-09-03
[40]
웹사이트
Hankó Ildikó: Királyaink Tömegsírban
http://mek.oszk.hu/0[...]
[41]
백과사전
Stephen I
http://britannica.co[...]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08-07-29
[42]
문서
메르제부르크의 티에마르는 성 이슈트반 1세를 'Waic'라 표기했다. 'Vajk'이란 투르크어로 ‘부자’ 또는 ‘영웅’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헝가리어로 버터를 의미하는 'vaj'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43]
서적
The Penny Cyclopædia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http://books.google.[...]
C. Knight
2008-07-31
[44]
문서
어떤 폴란드의 사료들은 그의 어머니가 사롤트의 사후 게저의 두 번째 아내가 된 피아스트 왕조에 속한 폴란드의 공주 아델라자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역사학자들은 이를 부정한다.
[45]
서적
History of Latin Christianity
http://books.google.[...]
Michigan State University
2008-07-29
[46]
웹인용
Országalapító királyunk és a keleti hagyományok kapcsolatáról
http://ujember.katol[...]
2005-08-21
[47]
웹인용
Foundation for Medieval Genealogy
http://fmg.ac/Projec[...]
2008-07-29
[48]
서적
The Realm of St Stephen: A History of Medieval Hungary
http://books.google.[...]
I.B.Tauris
[49]
백과사전
St. Stephen
http://www.newadvent[...]
2011-12-09
[50]
문서
스테판의 어원인 στεφανος는 ‘왕관을 쓴’이라는 의미.
[51]
서적
Legenda aurea
[52]
문서
Legenda maior Sancti Regis Stephani (The major legend of King Saint Stephen)
[53]
서적
Chronicon de sex ætatibus mundi (Chronicle of the six ages of the world)
[54]
문서
Chronicon Pictum
[55]
문서
몇몇 작가들은 그들을 포즈난과 헌트라 부르며 포즈난은 니트라 지역의 슬로바키아인 지주라 주장한다. 그러나 사료들을 고려할 때, 이 형제가 기셀라와 함께 헝가리에 도착했다고 보는 것이 더 옳은 것 같다.
[56]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57]
뉴스
The Hungarian Quarterly, VOLUME XLI, No. 160, Winter 2000
http://www.hungar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